您现在的位置是:쇼핑 >>正文
한·사우디 43년 만의 공동성명 “방산·네옴시티 협력 강화”
쇼핑721人已围观
简介윤석열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네옴 전시관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네옴 전시관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310/25/a96a189e-d29c-439b-93a3-958a510c455d.jpg)
윤석열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네옴 전시관을 방문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한·사우디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전방위 협력 강화를 천명했다. 1962년 수교 이래 양국은 교역 규모가 400배 커질 정도로 긴밀한 관계를 유지·발전시켜 왔다. 1980년 당시 최규하 대통령이 공동성명을 채택한 지 43년 만에 양국 정상 간 성명이 채택됨으로써 이런 움직임을 가속할 가시적 틀이 마련됐다.
공동성명에는 원유와 건설 등 전통산업 분야는 물론,한사우디년만의공동성명방산네옴시티협력강화 미래 기술과 안보를 포괄하는 협력 강화 방안이 담겼다. 2022년 수교 60주년에 수립한 ‘미래지향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심화·발전시켜 나가자고 뜻을 모은 양측은 “교역 및 미래지향적 산업 분야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수소 경제, 스마트시티, 미래형 교통수단, 스타트업 등 공통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 투자 확대를 적극 모색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건설·인프라 분야와 관련해선 “네옴시티 프로젝트를 비롯해 사우디가 추진 중인 키디야, 홍해 개발, 로신, 디리야 등의 기가 프로젝트와 이와 연관된 인프라 사업 성공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는 내용이 공동성명에 들어갔다. 윤 대통령은 전날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기업인들과 만찬에서 사업비 5000억 달러(670조원)로 추산되는 네옴시티를 언급하며 “현대판 만리장성으로 정말 놀라웠다”며 “우리 기업들의 대대적 참여가 필요하다.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에너지 협력 분야에선 “사우디가 계속해서 한국의 원유 수요를 충족시켜 주는 가장 믿음직한 동반자이자 원유 수출국이 될 것”이라고 명시했다. 동시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전기뿐이 아닌 재생에너지 및 사우디에서 한국으로 수출될 청정 수소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Tags:
相关文章
Criminal procedures for foreigners in Korea
쇼핑As of the end of September, the number of short-term and long-term foreign residents in Korea was 2. ...
【쇼핑】
阅读更多Foreign exchange reserves fall for third consecutive month
쇼핑South Korea's foreign exchange reserves fell for the third consecutive month in October, accord ...
【쇼핑】
阅读更多[New in Korean] 'The path to happiness is forgiveness,' says Korea's first million
쇼핑"Condolences for the Lost Time"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Korean title)By Kim Hong-shinHainaimKi ...
【쇼핑】
阅读更多
热门文章
- Seoul shares close more than 1% higher on extended Israel
- Following an Israeli airstrike, crowded Gaza hospital struggles to treat wounded children
- FM makes final pitch for World Expo 2030 in France
- Hana Bank to offer W100b in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 BTS gets 6th top honor at 2023 MAMA Awards
- Actor Lee Sun
最新文章
-
[Herald Review] ‘Single in Seoul’ a bland rom
-
S. Korea vaccinates over 76% of cattle against lumpy skin disease
-
Bedbug fear spreads across Seoul
-
[Our Museums] Legacy of early Catholics at Korean Catholic Martyrs' Museum
-
Seoul shares start lower ahead of key rate decision
-
N. Korea vows military action after US missile test
友情链接
- 'Omega X will not give up': Boy band returns to share message of hope
- [Today’s K
- 인요한 만난 김종인 “처방은 잘했지만, 환자가 약을 먹어야”
- S. Korea retakes No. 1 spot in global shipbuilding orders in Oct.
- Back to square one on return of Goryeo relics from Boston museum
- 인요한 "이준석에 통크게 제안…돌아와 총선 중책 맡아달라"
- Kard signs with Cardi B, Post Malone's agency
- [From the scene] Jazz music livens up Seoul's streets
- S. Korea goes all
- Talks on Goryeo artifact's repatriation resume a decade later
- 46 countries, including S. Korea, US, join declaration on 'responsible' AI use
- Multicultural educator Min Byoung
- LG companies hint at grand promotions to celebrate Twins' big win
- 감사원, 文정부 소상공인 지원 실태 감사 착수
- BTS company Hybe heading to Latin America
- Rising star pianists of three Asian countries join force for peace concert
- Bikes or motor vehicles? E
- Seoul Metropolitan Traditional Orchestra meets electronic beats
- Fifty Fifty’s Keena to attend 2023 BBMAs
- [Herald Interview] Inaugural meeting maps UNC 2.0 amid shifting security dynamics
- SK hynix starts supply of world’s fastest mobile DRAM for China's Vivo
- Daewoong's Nabota tops botulinum toxin exports
- LG Twins capture 1st Korean Series title in 29 years
- Business groups demand more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 ‘Believer 2’ returns as 'midquel' with new characters, stronger plot
- KBS determined to regain public trust
- 19 S. Koreans held captive in Myanmar freed: ministry
- Seoul shares down amid possible US government shutdown woes
- UNESCO HQ hit by largest
- 한·미 북핵 대응 전략 10년 만에 다시 쓴다